아이 마음, 그렇게 자라나요

아이 인성교육을 위한 부모의 눈높이

아이한테 바로 사탕을 주세요? 그런 선택을 아이에게 알려주려던 참이었는데, 그냥 누군가를 보고 왔어요. 그녀가 슬슬 수박을 씨는 동안, 아이가 손을 놓지 않고, 그냥 그렇게. 사탕을 한 손에 쥐고 있던 게, 그제서야 보이더라고요. 그 아이가 손에 들고 있던, 먹지도 않은 사탕을 우리 아이에게 말없이 미는 걸 보았어요. 사탕을 주는 게 아니라, 마음이 오는 순간이 따로 있더라고요.

아이 앞에, 당신은 거울이에요

아이들이 그렇게 자라서. 우리는 거울이에요. 그런데, 그때 그냥 웃었어요. 아이가 다른 친구 머리를 긴 손으로 잡아당길 때, 그냥 화를 내는 건 아니더라고요. 그녀가 한 걸음을 봤어요. 아이를 안아줬어요. 그리고, 그 목소리로…

‘아, 머리 아플 것 같아’라고 말했어요. 그 아이가 얼마나 힘을 줬을까, 지금 그 느낌이 기억나게. 그렇게 말이, 꼭 아이의 마음에 서는 거예요. 화내기 전, 깨달은 그 순간.

자존감 높은 아이는, 조금 다르게 보여요

‘아이 마음, 경청이 중요해요’는 당연한 말이었죠. 그런데, 그게 그녀가 하는 걸 볼 때, 느낀 게 있어요. 아이가 졸면서, 실패한 날, 그 이야기를 들었어요. 단어 하나를 배우던 그때, 그녀가 앉았어요. 아이 앞에, 크게.

아이가 ‘그때 나는, 왜 이렇게 했지?’라고 묻는 거예요. 그냥, 그 아이의 옆을 채웠어요. ‘그때, 그만큼 노력했잖아’라고. 그 아이 눈이, 살짝 빛나는 걸 본 것 같아요. 그 순간, 정말 뿌듯했어요. 우리도 그런 눈빛을 만들어 줄 수 있겠죠?

아이, 그 마음이 열리기까지

그녀는 아이가 소리내어 기분 나쁘단 말을 하는 걸 보았어요. 그런 생각을 하던 중, 이런 말이 떠올랐어요.

화목한 가정은, 아이의 마음이 답답한 게 아닌 안정감을 찾았어요.

그 말이, 그냥 그냥, 나오는 거예요. 우리가 ‘그냥 있는 그대로 사랑받고’ 있음을, 그 아이가 온전히 느끼는 그 순간이었던 것 같아요.

그래서, 우리는 어떻게 시작할까?

그녀의 말처럼 ‘아이의 호기심을 따라가 보세요’. 그 아이가 물어볼 때, 그때 기다려주는 거예요. 그 아이의 호기심을 따라가다가, 그 아이의 눈동자에 자존감이 오르는 걸 보았어요. 딱딱한 단어 목록, 어쩌면, 앞으로 그 아이가 스스로 찾아보게 만드는 과정이죠.

아이의 마음, 그 자존감이 세워지는 그 순간

사탕을 주는 게 아니라, 마음이 오는 순간이 따로 있더라고요. 그 순간을 보는 법만 안다면, 인성교육은 이미 우리 일상 속에 스며들어 있는 거죠. 서로의 마음을 나누는 그 따뜻함, 우리 아이에게 꼭 전해주고 싶어요.

Latest Posts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